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박종혁 교수팀은 자체 개발한 고분자 나노소재를 이용해 수명이 더욱 길어진 신개념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권위지인 나노레터스 인터넷판에 최근 실렸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이용한 태양전지다. 기존 실리콘 전지 비용의 20~30%로 제작할 수 있고, 투명하게 만들 수 있어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반면 이 전지는 휘발성이 높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해야 해 상업화가 더뎠다. 겔 타입 전해질도 사용되나 겔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단점으로 꼽혔다.
박 교수팀은 입자 크기가 같은 고분자 나노소재(폴리스타이렌)를 태양전지의 상대 전극에 놓고 이 소재를 선택적으로 부풀어 오르게 하거나, 액체 전해질의 용매를 조절하게 하는 새로운 전해질을 만들었다. 이 전해질은 기존 액체 전해질과 같은 성능을 내면서도 수명은 더 길다.
박 교수는 “이 기술로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을 선도하는 나라들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며 “얇고 효율 높은 차세대 태양전지 실용화를 앞당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MK뉴스)